반응형 전체 글39 학교폭력 장난과 폭력을 구분하는 방법 학부모 입장에서 우리 아이가 학교에서 학교폭력을 당하고 있다면? 생각만 해도 머리가 지끈지끈 아파올 것이다. 현재 부모세대가 생각하는 학교와 현재의 학교는 많은 것이 다르다. 과거의 폭력이 오프라인 공간에서의 물리적 폭력이나 왕따, 심부름 등이 대부분이었다면 지금은 많은 부분이 사이버 공간으로 옮겨 갔다. 그렇기에 부모가 관심을 가진다고 하더라도 쉽게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피해 사실을 알고 대처하려고 할 때 증거자료가 남아 있지 않아 진술에만 의존하기도 한다. 온라인 공간에서도 마찬가지로 장난을 빙자한 폭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우리 자녀에게 또는 부모가 판단했을 때 학교폭력과 장난을 어떻 기준을 가지고 판단할 수 있을지 알아보고자 한다. 학교폭력 피해자가 느끼는 감정 일반적으로 학교폭력 피해자.. 2023. 3. 16. 학생들의 과다한 멀티미디어 노출로 발생하는 문제, 올바른 사용법 시대 변화가 빨라짐에 따라 새로운 기술이 나왔을 때 확산되는 속도 또한 무척 빨라졌다. 모든 것이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는 초연결 사회에서 어른 세대와는 달리 학생들은 태어나면서부터 멀티미디어 도구와 함께했다. 영유아기부터 자연스럽게 멀티미디어에 노출이 되었으며 학교에서도 여러 학습도구로 여러 기기를 활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학생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어떤 것이 있는지 확인해 보고 적절한 활용 방안에 대해서도 고민해 보고자 한다. 학생들이 많이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도구 학생들은 학업이나 여가 시간에 다음과 같은 멀티미디어 도구를 활용하고 있다. 첫째, 인터넷 검색 엔진이다. 학생들은 네이버, 구글, 다음 등의 검색 엔진을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에 접근을 한다. 단순 정보 검색을 넘어서 각 사이트가.. 2023. 3. 11. 학생 상담 법 인지행동치료 SFBT 개인중심치료 학교에서 1년을 보내면 학생들과 많은 상담을 하게 된다. 새로운 학급을 맡게 되면 학년 초 기본 상담에서 시작하여 평가 후 성적에 대한 상담, 3학년 학생들의 경우 진로진학 상담까지 기본적으로 학생 1명당 3~4 차례의 상담이 진행이 된다. 이와는 별개로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은 수시로 관찰하며 적응여부를 확인하고 또 지속적으로 상담을 진행해야 한다. 문제 행동을 일으켰을 때 초기 접근이 중요한데 무작정 학생의 잘못에 대해 몰아붙이게 되면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반발심을 사게 되므로 차분한 태도가 중요하다. 학생 상담 시 구체적인 몇 가지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인지행동치료 CBT로 부르는 이것은 우울증, 불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포함한 광범위한 정신 건강 상태를 치료하.. 2023. 3. 10. 학교폭력 문제 어떻게 예방하고 대처할 것인가? 사안의 경중에 상관없이 예방하기도 대처하기도 어려운 것이 바로 학교폭력 문제이다. 과거의 물리적인 학교폭력과는 달리 사이버 공간에서의 학교폭력이 다수를 차지하는 상황이다 보니 확실한 가해자가 있는 상황에서도 학교나 교사가 개입할 수 있는 부분이 크지 않다. 친구를 괴롭힌 가해자를 엄벌에 처하여 다시는 학교폭력을 저지르지 못하도록 해야 하는데 막상 현장에서는 그게 쉽지 않다. 오늘 글에서는 어떤 이유 때문에 학교폭력이 사라지지 않고 고통 받는 피해자가 계속해서 생겨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실태 및 처리 단계 현재의 학교폭력은 따돌림과 더불어 사이버 폭력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따돌림의 경우 피해자와 가해자가 친했던 사이가 대부분이다. 한 무리에서 친하게 지내던 한 명이 어떤 이유에서 그룹에서 이탈.. 2023. 3. 8. 이전 1 2 3 4 5 ··· 10 다음 반응형